본문 바로가기
헬스

좌골신경통 치료방법/증상/원인

by osylyj 2025. 4. 12.
반응형

좌골신경통이란 좌골신경을 따라 엉덩이에서 다리 후면이나 바깥쪽에 걸쳐 발생하는 통증의 통칭입니다. 좌골신경은 허리 주변에서 다리로 뻗어 있는 신경으로, 이 좌골신경이 어떤 원인으로 인해 자극을 받으면 통증이나 저림 증상이 발생합니다. 이번 포스팅은 좌골신경통 치료방법과 원인, 증상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순서

1. 좌골신경통의 원인

2. 좌골신경통 증상

3. 좌골신경통의 검사 및 진단

4. 좌골신경통 치료방법

5. 정리

 

좌골신경통 치료방법과 증상, 원인

1. 좌골신경통 원인

 

 

요추 추간판탈출증이나 요부 척추관협착증은 좌골신경통의 원인이 되는 대표적인 질병입니다. 그 외에도 빈도는 많지 않지만, 골반 내 종양 등 다양한 질병이 원인이 되어 발병할 수도 있습니다. 요추 추간판탈출증과 척추관협착증에 대해서는 다음을 참고 바랍니다(다음 - 요추추간판탈출증 치료방법, 척추관협착증 치료방법 체크)

 

2. 좌골신경통 증상

좌골신경통은 엉덩이나 다리의 뒷면, 혹은, 바깥쪽에 통증이나 저림 증상이 나타납니다. 냉감, 작열감 등을 느낄 수도 있습니다. 증상은 다리의 일부에서만 나타날 수도 있고 다리 전체에 나타날 수도 있습니다.

 

요부 척추관협착증이 원인일 경우, 간헐성 파행이라는 증상이 생길 수 있습니다. 간헐성 파행은 잠시 걸으면 엉덩이나 허벅지 후면에 통증이 생기고, 쉬면 가라앉고 걷기 시작하면 다시 아프다는 것이 특징입니다.

 

3. 좌골신경통 검사 및 진단

먼저 상세한 문진을 진행합니다. 척추 이외에 내과 질환의 유무, 특히 당뇨병, 고혈압이나 혈관 질환의 유무를 확인하는 것은 중요합니다. 가족 중에 척추질환으로 수술을 받은 가족이 있는지, 가족력 확인도 중요한 진단 정보가 됩니다. 배뇨와 배변 기능도 물을 수 있습니다.

 

 

다음 진찰은 추골 배열, 통증 부위, 근력, 지각, 반사 하지직거상검사 등의 항목을 체크합니다. 하지직거상검사 방법은, 요추 추간판탈출증인 경우, 위를 향해 누워서, 다리를 똑바로 들어 올렸을 때, 중간에 통증 때문에 다리가 올라가지 않아 수직으로 올릴 수 없습니다. 이 상태를 '하지직거상검사 양성'이라고 합니다. 영상 진단으로는 다음의 3종류의 검사가 실시됩니다.

 

1) X-레이 촬영

검사 척추의 변형 정도, 만곡 이상이나 요추가 어긋나 있는지를 조사합니다. 또한, 추간공(추간이 빈 상태)에서 연골 조직의 변성 정도를 판단합니다.

 

2) MRI 검사

핵 자기 공명단층 촬영을 통해 척수신경이나 추간판 등, 단순 X-레이로는 볼 수 없는 조직을 영상화할 수 있습니다.

 

3) 척수 조영술

척수강에 조영제를 넣어 X-레이 촬영을 실시하고 단순 X-레이로는 찍을 수 없는 척수 신경의 압박 상태를 조사합니다. CT(컴퓨터단층촬영)를 병용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진단이 가능해진다고 합니다.

 

4. 좌골신경통 치료방법

1) 보존적 치료

좌골신경통 치료방법으로는, 보존적 치료(비수술적 치료)가 기본이며, 수술은 최종적인 수단이라는 인식을 갖는 것이 중요합니다. 일반적으로는 이하의 2가지에 유의합니다. 좌골신경통 치료방법은 병원이나 의사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 안정 : 강한 통증이 있을 때는 무리하게 움직이지 않도록 합니다.

□ 운동 : 통증이 가라앉으면 적극적으로 운동을 하고 스트레칭으로 굳어진 근육을 풀어줍니다. 단, 역효과가 나지 않도록 의사나 의료인의 지도 하에 실시하도록 합니다.

 

2) 약물 치료

좌골신경통 치료방법에서 약물치료는 소염진통제를 중심으로 사용하고 필요에 따라 근육이완제나 혈관확장제를 처방합니다. 아래 세 가지 약은 요통의 약물치료에 사용되는 대표적인 약이라고 합니다.

 

□ 소염 진통제

염증을 억제하고 통증을 완화합니다. 내복약 외에 찜질로도 많이 쓰입니다.

 

□ 근육이완제

신경을 이완시키고 근육의 긴장을 완화합니다. 근육이 긴장을 하여 굳어져 통증을 일으키고 있는 상태를 개선합니다.

 

□ 혈관확장제

혈류 개선제라고도 합니다. 혈액순환을 좋게 하기 위해 사용합니다.

 

또한, 좌골신경통의 치료에서는 정신 상태의 파악과 관리도 중요합니다. 스트레스 등으로 통증에 과민하게 반응하거나 기분이 우울해지고 통증이 더 심해지는 경우에는 항우울제 투여가 효과적인 경우가 있다고 합니다.

 

 

3) 물리치료

□ 골반 견인

골반에 벨트를 걸고 발끝 방향으로 당겨줍니다. 좁아진 요추의 간격을 넓히기 위해 실시하지만, 허리 주변의 긴장을 느슨하게 하는 효과도 있습니다.

 

□ 온열 치료

환부를 따뜻하게 하여 혈액순환을 좋게 함으로써 통증을 줄일 수 있습니다. 마이크로파 등을 사용하는 치료도 있습니다. 염증이 있을 때는 실시하지 않도록 합니다.

 

4) 장구 치료

코르셋이나 요통 벨트 등을 착용하여 허리둘레를 고정함으로써 요추가 안정됩니다. 약물 치료나 물리치료를 병용함으로써 더욱 효과를 높일 수 있다고 합니다.

 

5) 차단 요법

차단 요법은 신경과 신경 주위에 국소 마취제를 주사하여 통증을 제거하는 방법입니다. 통증이 전달되는 경로를 차단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좌골신경통 치료에 사용되는 차단 요법에는 경막 외 차단술과 신경근 차단술의 두 종류가 있습니다.

 

 

경막 외 차단은 척수를 덮고 있는 경막 바깥쪽에 있는 경막 외강에 마취제를 주사하여 신경의 염증을 억제합니다. 한편, 신경근 차단은 치료뿐만 아니라 진단적 측면도 있습니다. 척추의 몇 번째와 몇 번째 사이의 어느 신경이 가장 통증을 일으키는지, 그 원인이 되는 신경근을 특정하여 국소 마취제와 스테로이드제를 직접 주사합니다.

 

차단 요법은 진통 작용이 높고 효과적인 치료이지만, 효과에는 개인차가 있으며, 장기간 효과가 있는 경우도 있고 단기간에 효과가 끊어지는 경우도 있다고 합니다.

반응형

 

5. 좌골신경통 치료방법 정리

좌골신경통 예방을 위해서는 생활습관 개선도 중요합니다. 허리에 부담을 주지 않기 위해 평소에 자세를 개선하고 스트레칭 등을 실시하면 좋습니다. 체중이 증가하면 허리에 부담이 되므로 비만에도 주의가 필요합니다. 또한, 하체의 냉기가 좌골신경통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허리와 다리의 보온에도 유의하는 것이 좋습니다.

 

※ 상기의 글, ‘좌골신경통 치료방법과 증상, 윈인’은 개인이 조사하여 정리한 글로, 사실과 다를 수 있습니다.

 

허벅지 뒤쪽 통증 원인/치료

 

허벅지 뒤쪽 통증 원인/치료

허벅지 뒤쪽이 아프면 일상의 다양한 상황에서 영향을 미칩니다. 일반적인 운동을 할 때는 물론, 자전거를 탈 때, 의자에 앉아 있을 때도 통증이 신경이 쓰일 것이다. 그런 만큼 허벅지 뒤쪽의

osylyj.tistory.com

왼쪽 허리 통증 원인

 

왼쪽 허리 통증 원인

만성적으로 왼쪽 허리가 무겁게 느껴지거나, 허리 전체가 아프지만 특히 왼쪽이 아픈 경우, 발이 잘 붓고 밤중에 잠잘 때 다리에 쥐가 나는 경우, 또는, 항상 왼쪽 허리에만 통증이 있는 경우 등,

osylyj.tistory.com

엉덩이 근육 통증 원인과 치료 방법, 대처법

 

엉덩이 근육 통증 원인과 치료 방법, 대처법

장시간 엉덩이 근육에 부담 가는 자세를 취하면 근육통이 생길 가능성이 있습니다. 또한, 엉덩이 근육이 뭉쳐서 신경을 자극, 통증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통증이 반복되지 않고 일시적이

osylyj.tistory.com

 

반응형

댓글